Superfreakonomics

 Theory isn’t always fun. But when theory is applied, then we get tools to see and interpret a world that suddenly becomes so much more enlightening and that’s why theory is important, and different fields of study are valuable in their own right. I fail at economic theory, as much as I want to understand it – believe me I do! I believe that economics is the basis of society and that it shapes history and politics. So the revelation that this book and its predecessor (‘Freakonomics’) gives in explaining the applicability of economics to the daily questions of life in a simple, light, and easy manner (so that even someone like I could understand), made it a surprisingly pleasant read.

“The economic approach isn’t meant to describe the world as any one of us might want it to be, or fear that it is, or pray that it becomes – but rather to explain what it actually is. Most of us want to fix or change the world in some fashion. But to change the world, you first have to understand it.”Superfreakonomics

It finally hit me why I love my major. It’s interesting and fun, but it’s also a tool for me to understand the world I want to change. That’s why I love International Relations.

marching off the map

“물론 나도 알고 있다.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 그렇게 쉽사리 오지 않으리라는 것을. 하지만 그렇다고 두 손 놓고 있는 것은 스스로가 초라해서 견딜 수 없다. 도시 전체가 암혹으로 뒤덮여 있는데, 나 혼자 촛불 하나를 들고 있다고 해서 그 어둠이 걷힐 리 만무하다. 하지만 어둡다, 어둡다 하고만 있을 수 없다. 우선 내가 가지고 있는 초에 불을 붙이고, 그 불을 옆 사람에게, 또 그 옆 사람에게, 초가 타고 있는 한 옮겨주고 싶다. 모든 일을 해결할 순 없지만 할 수 있는 일은 하고 싶다. 정말 그렇게 하고 싶다.”

“한편으로는 이런 문제에 처해 있는 복잡한 상황을 우리가 안다한들 뭘 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 것이다. 그러나 정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을까? 나는 있다고 믿는다. 그 곳에 평화가 오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일, 우리가 그들을 똑바로 지켜보는 일, 어느 편이건 간에 국제 사회와의 약속을 어기고 불의를 저지른다면, 한 목소리로 응징하는 일 등등. 이렇게 우리를 포함한 전 세계가 감시자와 목격자의 역할을 충실히 한다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에, 중동에, 나아가 세계에 마침내 평화가 찾아 올 것이라고 믿는다. 적어도 평화가 오는 날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Of course, I know that the world we dream of won’t come along that easily. But to let go and not do anything makes one’s self-shabbiness unbearable. When an entire city is covered in darkness, it’s impossible to get rid of the darkness with the lone candle I’m holding by myself. But we can’t simply sit around complaining that it’s dark. First, light the candle that I have, then light the next person’s, and the next person’s. As long as the candle is burning, I want to pass it on. We can’t resolve everything, but I want to do what I can. I really do.” 

“On one hand, the thought of what could we possibly do even if we are aware of this complicated situation and its issues will surface. But is there really nothing we can do? I believe there is something we can do. To genuinely hope for peace there, to closely monitor the situation, to unanimously punish whichever side breaks a promis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ommits injustice, etc etc. In this way, when the whole world that includes us dutifully fulfills the roles of monitor and observer, I believe that peace will finally come in Palestine and Israel, in the Middle East, and furthermore in the world.

At least I firmly believe that we can hasten the arrival of peace.”

– Han Bi-ya, “Marching off the Map”

한비야는 말하듯 글을 쓰셔서 누구나 부담없이 읽기 쉬운 책일 거 같다. 그리고 책을 통해 전해 받는 그녀의 열정과 에너지는 정말 본받고 싶다. 그녀는 우리가 사는 세상의 아픔 현실들을 구호현장에서 전해주지만, 그녀의 아름다운 눈과 마음으로 볼 때 그런 세상 마저 아름다워 보이기도 하다. 아름다운 세상에 언젠가 살 수 있을거라는 희망을 품게 되고, 적어도 내가 아니라면 노력을 해서 내 아이들에게는 꼭 아름다운 사람들이 눈물과 기도와 땀을 흘려 현장에서 가진 모든 것을 쏟아부어 만든 그런 값지고 아름다운 세상을 물려주고 싶다.

it’s the small things

<2012.05.27> 오늘의 일기

오늘 교회 가는 길, 왕십리에서 중앙선으로 갈아타는 플랫폼으로 가기 위해 늘 가던 계단 쪽으로 향해 다친 다리 끌고 계단 하나하나 힘겹게 올라가던 도중, 연세 있으신 아저씨께서 그런 내가 안쓰러웠는지 나에게 엘레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권유하시며 그 쪽으로 친절히 인도하신다. 절름발이인 내 모습이 장애인 같아 보였는지, 자신도 팔이 없다며 자신의 의수(prosthetic arm)을 보여주시며 연대감을 형성하신다 혹은 위로를 해주시는 거였는지. 여튼 그 분의 친절함에 감동 받아, ‘아직 한국은 낯선 사람들 사이에도 친절함과 정이 있는 나라 군’이란 생각이 들어, 안심하며 왠지 모르게 기분 좋았다.